사용상의주의사항
1.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
1) 유효한 항균제가 없는 감염증, 전신 진균 감염증 환자(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)
2) 이 약 및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 및 그 병력이 있는 환자
3)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, 갈락토오스 불내성(galactose intolerance),
Lapp 유당분해효소결핍증(Lapp lactase deficiency) 또는 포도당-갈락토오스
흡수장애(glucose-galactose malabsorption)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 게는 투여해서는 안된다.
2.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
1) 비인후감염증의 환자(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)
2) 반복성 비출혈 환자(출혈을 악화시킬 수 있다)
3. 이상반응
통년성 알레르기비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 따르면, 총 523명 중, 34명 (6.5%)에서 이상반응이 보고되었다.
주요 이상반응은 비부불쾌감 3명(0.6%), 인두불쾌감 3명(0.6%)가 있었다. 또한, 511 명 중에서 확인된 이상반응으로 임상검사치의 이상은 ALT(GPT) 상승 6명(1.2%)등 이 있었다. (에리자스캡슐(외용)400㎍ 승인 시)
1) 중대한 이상반응
아나필락시스 반응 : 다른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점비제의 사용 후, 아나필락시스 반응 (호흡곤란, 전신홍조, 혈관부종, 두드러기 등)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으므로, 관찰을 충분히 하여, 이상이 확인될 경우에는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하고, 적절한 처치를 행한 다.
2) 그 외의 이상반응
아래와 같은 이상반응이 나타난 경우에는, 증상에 따라 적절한 처치를 한다.
빈 도 종 류 | 1~5% 미만 | 1% 미만 |
비강 | | 비부불쾌감 |
구강 및 호흡기 | | 인두불쾌감 |
간장 | ALT(GPT) 상승 | AST(GOT) 상승 총 빌리루빈 상승 직접 빌리루빈 상승 |
혈액 | | 백혈구 증가, 백혈구 감소, 호중구 감소 |
기타 | | 트리글리세라이드 상승, 시야흐림 |
4. 일반적 주의
1) 중증의 비후성비염 또는 비용(코 종기)의 환자에게는, 이 약의 비강내에서의 작용 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, 이러한 증상이 어느 정도 감소하게 다른 요법을 병용한다.
2) 이 약의 투여기간 중 비증상의 악화가 보이는 경우에는, 항히스타민제 등의 항알 레르기제 또는 전신성 스테로이드제를 단기간 병용하며, 증상의 경감에 따라 병용 약제를 서서히 감량한다.
3) 통년성 알레르기비염의 환자에 대해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, 증상의 개선상태가 지 속된다면 이 약을 감량하거나 휴약하도록 한다.
4) 이 약 투여 후 전신성 스테로이드제를 감량할 경우 이 약의 분무 시작 후 증상이 안정되는 것을 보면서 서서히 시행한다. 감량시, 일반적인 스테로이드제의 감량법 에 준해 실시한다.
5) 장기간 또는 대량의 전신성 스테로이드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에서는 부신피질기능 부전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이 약 투여 후 전신성 스테로이드제의 감량 중 및 투여 중지 후에도 부신피질기능검사를 실시하여 외상, 수술, 중증감염증 등의 침습에는 충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.
6) 이 약 투여 후 전신성 스테로이드제의 감량 및 투여중지할 경우, 기관지천식, 때때 로 습진, 두드러기, 어지러움, 동계(두근거림), 권태감, 안면홍조, 결막염 등의 증상 이 발현, 악화될 수 있다. (이러한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적절한 처치를 한다)
7) 전신 및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으로 시력장애가 보고될 수 있다. 환자에게 시야흐림 또는 기타 시력장애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경우, 환자를 안과의사에게 보내어 백내장, 녹내장 또는 전신 및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 후 보고된 중심장액맥락망막병(CSCR)과 같은 희귀질환을 포함하여 발생 가능한 원인 평가를 고려해야 한다.
5. 임부, 수유부에 대한 투여
1) 임부, 가임여성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이 확립되지 않았다. 이 약은 동물실험에서 배, 태자 사망률의 증가(토끼), 생존태아수 감소 및 생존태아체중의 저하(토끼), 골 화진행도에의 영향(토끼)이 보고되었다.
2) 수유부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이 확립되지 않았다. 동물실험에서 유즙중으로 이행 이 보고되었다(랫트).
6. 소아에 대한 투여
소아 등에 대한 안전성ㆍ유효성이 확립되지 않았다.
7. 고령자에 대한 투여
일반적으로 고령자에서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,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신중히 투여한다.
8. 적용상의 주의
1) 투여경로
(1) 이 약은 비강점막에 분무하는 분말제로서, 캡슐을 경구로 투여하면 안된다.
2) 투여방법
전용분무기를 사용하여, 사용설명서에 따라 숨을 멈춘 상태에서 비강내에 4회 분무 하도록 한다. 투여시 콧물이 많은 경우에는 충분히 코를 푼 후에 분무하도록 한다.

1. 커버를 뺍니다. 커버와 바디를 그림과 같이 잡고, 커버를 위(화살표 방향)로 뽑아줍니다. |

2. 노즐의 간격을 조정합니다. 코를 충분히 풀고, 코 속을 청결하게 한 후, 코 안에 넣기 쉽게 간격을 조절합니다. 노즐 간격의 조절은 좌우 노즐을 각각 돌려줍니다. 이때, 노즐에 콧물 등이 묻지 않도록 주의 하며, 만약 묻었을 경우에는 티슈로 깨끗하게 닦아줍니다. (물로는 씻지 않도록 합니다.) |

3. 바디와 펌프를 분리 합니다. 바디와 펌프를 그림과 같이 잡고, 바디를 왼쪽(화살표 방향)로 돌려서 분리합니다. |

4. PTP 시트에서 캡슐을 꺼냅니다. 캡슐을 PTP시트에서 꺼냅니다. 캡슐은 손가락으로 눌러 빼지 않고, 이쑤시개와 같이 앞이 뾰족한 것을 사용하여 알루미늄 시트를 벗겨 (왼쪽 그림1), 캡슐을 꺼냅니다.(왼쪽 그림2) 꺼낼 때 찌그러지지 않도록 주의 합니다. |

5. 캡슐을 캡슐 홀더에 조립시켜 캡슐의 밑 부분에 있는 구멍을 냅니다. 캡슐을 손가락으로 잡아 그림a 처럼 캡슐 홀더에 조립시킵니다. 캡슐을 넣는 방향은 아무쪽이나 상관없습니다. 조립후, 그림b처럼 캡슐홀더에 캡슐이 완전히 들어갈 때까지 확실하게 넣은 후, 캡슐 밑 부분에 구멍을 냅니다. 이때, 뚜껑이 열리는 소리가 납니다. |

6. 바디와 펌프를 연결합니다. 바디와 펌프를 그림과 같이 잡고, 펌프를 누르지 않도록 바디를 오른쪽 (화살표 방향)으로 돌려, 원래 위치로 돌아 갈 때까지 꽉 닫아 줍니다. 이때, 잘못하여 펌프를 누르면, 캡슐이나 약제가 튀어나와 눈이나 얼굴에 묻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주의 해야 합니다. |

7. 푸셔를 움직여, 캡슐 윗부분에 있는 구멍을 냅니다. 펌프와 푸셔를 그림과 같이 잡고 펌프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푸셔를 밑으로 내리고(그림a) 캡슐의 윗부분에 있는 구멍을 냅니다. 다음으로 푸셔를 원래 위치까지 돌려놓습니다. (그림b) |

8. 코 안에 분무 합니다. 분무기를 그림과 같이 잡고, 노즐을 코 안쪽까지 주입하여 숨을 멈추고, 펌프를 그림의 화살표 방향으로 적당히 힘조절하여 4번 눌러 줍니다. 이때, 분무기를 너무 세우거나, 너무 눕혀버리면, 약제가 잘 분무 되지 않을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. |

9. 분무 후 캡슐을 꺼냅니다. 그림 ①과 같이 바디와 펌프를 분리시켜 ②와 같이 분무 후 캡슐을 꺼냅니다. 캡슐을 꺼내면 ③과 같이 바디와 펌프를 다시 연결 시켜줍니다. 그리고 노즐부위를 티슈등으로 깨끗하게 닦아줍니다. 또한 분무기는 물로 닦지 않습니다. 10. 커버를 닫아줍니다. 커버를 닫은 상태로 보관합니다. |
3) 약제교부시
PTP포장의 약제는 PTP시트로부터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.
9. 기타
레세르핀계 제제 , 메틸도파제제 등의 혈압강하제에는 이상반응으로서 코막힘이 보고 된 바 있다. 이와 같은 혈압강하제 복용중의 알레르기성 비염의 환자에게 이 약을 투 여할 때에는, 코막힘 증상에 의해서 이 약의 효과가 은폐될 수 있으므로, 임상적 관찰 을 충분히 행하며 투여하도록 한다.